DNS(Domain Name Service)
- naver.com 이라는 도메인 네임을 122.44.52.120 로 변환 한다.
- 즉,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장치가 읽을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 하는 것
/etc/named.conf 설정파일 수정
이제 CentOS에서 DNS 설정을 진행 해보자.
우선 bind 패키지를 설치해 주어야 한다.
yum 을 이용하여 bind, bind-utils, bind-libs 를 다운로드 한다.
다운로드가 완료 되면 named.conf 파일을 수정해주어야 한다.
[/etc/named.conf]
- named 데몬의 설정파일
- DNS 서버를 구축하고자 할 때 가장 많은 접근이 필요한 파일
- 가장 중요한 파일 중 하나
vim 편집기로 /etc/named.conf 파일을 열어 넘버링을 해준 뒤
14, 21 번째 행의 내용을 any로 변경 해준다.
listen-on-v6 port 53 { any; } : 53번 포트로 들어오는 외부 접속 허용
allow-query { any; } : 추가 네임서버 접속 허용
:wq로 저장 후 빠져나온다
/etc/named.rfc1912.zones 파일 내용 추가
- DNS 서버에 IP와 domain을 비교해주는 파일과 rev 파일이 있는 경로와 정보가 있는 파일
vim 편집기로 named.rfc1912.zones 파일에 내용을 추가해주자
zone "1.0.0.127.in-addr.arpa" IN {
type master;
file "named.loopback";
allow-update { none; };
};
--> 정방향
zone "0.in-addr.arpa" IN {
type master;
file "named.empty";
allow-update { none; };
};
--> 역방향
위 내용을 맨 아래에 복사 붙여넣기 해준다.
기존의 내용은 삭제하지 않는다
정방향 부분에 내가 사용 할 domain을 적어주고
file에는 localhost 파일명을 적어준다.
역방향 부분에는 IP를 오른쪽에서 세번째까지의 자리만 적어준다.
allow-update는 보조 DNS의 IP를 적어준다.
:wq로 저장 후 빠져나온다
/var/named/naemd.localhost & /var/named/named.loopback 파일 수정
정방향과 역방향 file부분에 적은 파일을 생성하자
cp /var/named/named.localhost /var/named/[정방향 file name]
/var/named/named.localhost 파일을 복사하여 /var/named/jiyoonh.xyz를 생성한다.(정방향 파일)
cp /var/named/named.loopback /var/named/[역방향 file name]
/var/named/named.loopback 파일을 복사하여 /var/naemd/xyz.jiyoonh를 생성한다.(역방향 파일)
우선 정방향 파일 부터 내용을 수정한다.
생성한 정방향(zone) 파일의 규칙 및 도메인에 연결할 IP 주소를 추가한다.
정방향 파일 내용 추가를 마쳤으니 역방향 파일도 직접 수정을 해주자
내용 추가가 끝났다면 저장 후 빠져나온 뒤
정방향, 역방향 파일에 읽기 권한을 부여해준다.
권한 부여를 해주지 않으면 파일을 읽어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
꼭 이 과정을 해주어야 한다!
named 실행 전 파일에 추가한 내용들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 한다
named-checkconf /etc/naemd.rf1912.zones
명령어를 입력 후 아무런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이상이 없는 것이다!
이제 named를 실행 시킨다.
이전에 /etc/named.conf 파일에서 any; 로 설정 해주었던 53번 포트를 열어준다.
방화벽을 오픈하고 reload를 해주어야 적용이 된다.
'operating system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Mail Server - 1. SMTP, POP3, IMAP (0) | 2022.10.24 |
---|---|
RR(Round Robin) DNS 설정 (0) | 2022.10.24 |
FTP Active mode & Passive mode (0) | 2022.10.12 |
소스 패키지와 바이너리 패키지, yum&rpm (0) | 2022.09.26 |
디스크 쿼터 (0) | 2022.09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