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operating system/network

VLAN(Virtual Local Area Network)

by hhhdangmoo 2022. 11. 23.
728x90
반응형

VLAN이란?


  • LAN은 근거리 통신망을 뜻한다. 여기에 Virtual(가상의) 라는 단어가 앞에 붙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
  • VLAN은 가상의 근거리 통신망이다.
  • 가상 LAN을 왜 만드는 것일까?
  • 스위치는 network domain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없다. 하지만 이것을 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.
  • subnet을 분리 할 수 있는 router는 진짜 LAN을 구성하고, switch는 가상의 LAN을 만들 수 있다 
  • L2 switch가 network를 분할 한다(=broadcasting domain을 분할, subnet을 분할)

 

switch 입니다....

위 그림을 스위치라고 생각해보자. 스위치에 포트가 위 그림처럼 있고 저렇게 포트를 분리 하여 연결 하였다.

이때는 network가 두개 형성 된다. 서로 다른쪽으로는 전기적 신호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

broadcasting domain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.

이렇게 하나의 스위치에 여러대의 pc가 연결 되어 있다

vlan 숫자가 같은 것은 같은 Network라는 것을 의미한다.

 

 

 

VLAN 설정


cisco 스위치에서 vlan 설정을 해보자

vlan [번호]

vlan 뒤에 오는 숫자는 1 - 1005 까지 사용 할 수 있다

vlan 10과 vlan 20을 만들어 주었다

range 는 port의 범위를 지정하여 한번에 설정이 가능하다.

switch mode access		-> switch를 access mode 로 변경
switch access vlan 10		-> 접속한 인터페이스는 vlan 10에 접근 가능함

 

설정을 끝낸 뒤 vlan 10 을 확인 해보면

Fastethernet 0/1 - 2 는 vlan 10의 멤버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vlan 20도 똑같은 방법으로 설정 해주었다.

switch network가 분리 되었기 때문에 다른 network로의 ping이 가지 않는 것을 확인 할  수 있다

 

 

 

아직 network를 분리하지 않았기 때문에 pc들간의 통신이 원활히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

위와 같이 스위치와 스위치를 연결 하고 g0/1 를 vlan 10에 소속 시키면 서로 다른 가상의 LAN 공간이라도 ping 통신이 가능하다

 

Access는 하나의 vlan에만 소속 될 수 있지만 Trunk mode 는 여러 vlan에 소속 될 수  있다!

switch mode를 trunk로 설정 한 뒤 vlan 소속 정보를 보면 g0/1의 vlan 소속이 나오지 않는다.

이는 switch가 운영 하고 있는 모든 vlan에 소속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

주의할 점은 switch와 직접 물리적인 연결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

 

 

728x90
반응형